반응형

내가 많은 사람들 앞에서 정말 가수처럼 노래를 잘 부르는 모습을 한번쯤은 상상해본적 있지 않으신가요?

 

누구에게나 노래를 잘 부르고 싶다는 욕심이 있고, 굳이 많은 사람들이 아니고 나 혼자만의 만족이라 할지라도 노래를 잘 부르고 싶다는 욕구가 있을겁니다.

 

그렇다면 과연 보컬트레이닝 을 받으면 나의 노래실력이 향상될 수 있을까요? 오늘 한번 집중적으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남녀노소 불문하고 대부분의 사람들이 노래를 잘 한다는 기준이 다르지만, 공통적으로 하는 생각은 있습니다. 바로 고음이죠.

 

그렇기 때문에 고음노래를 잘 부르는 사람을 보면 "우와 노래 잘한다"라는 소리가 절로 나오기 마련인데요. 하지만 노래를 가르치고있는 저의 개인적인 생각에는 고음을 잘 내면 노래를 잘한다 라기보다는, 표현할 수 있는 감정적 요소가 많다 라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제 기준에 정말 안타까운 상황은 음역대를 높이고 싶어 하는 사람들이 많이 생겼지만, 정작 감정적으로 노래를 부르는 사람들이 많이 줄어들었다는 것입니다.

 

예를들면 2,000년대 초반까지만 해도 저음부터 고음까지 다양하게 소리를 구사하고 가수의 감정을 호소하는 노래가 많았다면, 요즘에는 중고음부터 고음까지의 소리만 구사를 하고 있다는 점입니다.

 

마치 "나 이정도까지 올라가"라고 뽐내듯이 말이죠. 물론! 이것이 잘못됬다고 말하는건 아니지만 전체적으로 봤을 때 너무 한쪽으로만 치우쳐져있기 때문에 새로운 노래를 감상할 때 분명 다른 가수가 불렀음에도 불구하고 꼭 내가 들었던 노래마냥 또 같은 사람이 부른 것 마냥 목소리가 비슷해지고 노래가 비슷하게 들리는 것이 안타까운 상황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렇다면 여러분들이 보컬트레이닝 을 통해서 첫 번째로 배워야 하는 것은 무엇일까요? 바로 지금 내가 가지고 있는 목소리를 개발하고 개선해나갈 수 있는 트_레_이_닝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

 

물론 이 안에는 호흡하는 방법, 딕션, 소리내는 방법 등 여러가지 내용이 있죠. 

 

그렇게 열심히 해서 호흡을 내는 방법이라든지, 노래할 때 어떻게 소리를 내야되는지 등 나의 실력향상이 되면, 그때부터는 내가 부를 수 있는 노래의 범위를 점점 넓혀가야하는 것이 좋습니다.

 

저음부터 고음까지 낼 수 있는 소리를 만드는 것이죠. 즉, 음역대를 넓혀가는 것입니다.

 

 

 

 

여러분들이 가장 원하는 고음! 물론 단기간에 음역대를 넓힐수는 있습니다. 한 두번 수업으로 말이죠.

 

저 또한 고음만을 원하는 학생들이라면 그렇게 맞춰주고있기는 하지만, 좋은 방법은 아니기 때문에 별로 추천을 하지는 않습니다.

 

기반을 다지고 천천히 올라가는 것이 길게 봤을 때 더 좋기 때문인데요.

 

https://musicvocal.tistory.com/50?category=851458

 

고음 올라가는법 어떻게하면 될까요?

우리가 노래를 부를때 흔히들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것이 바로 고음인데요. 한곡을 완창하기도 힘들고, 또 고음 부분에서는 올라가지않아 매우 힘들어한다면 여러분은 지금 바로 고음 올라가는법 을 알아야겠죠?..

musicvocal.tistory.com

 

 

 

 

쉽게 예를 들어보자면, 만약 젠가를 쌓아올린다고 가정을 해봅시다.

 

그럼 하나씩 쌓는것과 여러개를 천천히 쌓는 것 어떤게 먼저 무너질까요? 답은 간단합니다.

 

바로 하나씩 쌓아놓은 것이 금방 무너지기 마련이겠죠? 이렇듯 소리도 마찬가지 입니다.

 

쉽게 음역대를 높일수는 있겠지만 기본적으로 기반을 다지고 올리는 것이 안정적이기 때문에 내 실력에 맞게 쌓아올리는 것이 유익합니다.

 

 

 

 

사람마다 성향이 다르고 색깔이 다르기 때문에 정해진 커리큘럼이 아닌 정해진 틀 안에서 유동적으로 개인에게 맞게 변하면서 보컬트레이닝 을 받으면 실력 향상에 도움을 많이 받을 수 있을 것입니다.

 

무엇보다도 내가 원하는 결과를 빠르게 얻는 것도 중요하겠지만, 이 부분은 보컬트레이닝 을 받을 때 트레이너와 학생의 궁합이 잘 맞는다면 본인이 원하는 결과를 금방 얻을 수 있게 됩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